[스크랩] 푸코구조주의역사관 역사의 구조 - 푸코 http://sj198673.blog.me/100194359732 역사란 최선을 향해 직선적으로 나아간다는 것이 구조주의 이전의 역사관이었습니다. 현재는 역사적 인과관계의 사슬에 따라 형성된 최선의 결과고, 이는 권력과 결탁하여 지배를 정당화하는 이데올로기가 되었습니다. 푸코는 이에 반론.. 가족/개인글 2016.03.06
[스크랩] 레비스트로스(C. L?vi-Strauss, 1908-2009) 싱거운 소리로 이 글을 시작하는 것을 용서하라. 레비스트로스(C. Lévi-Strauss, 1908-2009)라는 이름은 어떤 의미에서 거대한 두 개의 세계를 양분한다. 청바지의 세계와 인류학(민족학, ethnologie)의 세계 말이다! 레비스트로스가 미국 버클리에 초빙교수로 가 있을 때 이야기다. 아내와 함께 .. 가족/나의 이야기 2016.03.04
[스크랩] 구조주의 감시와 처벌 - 미셀푸코 관련자료 구조주의 감시와 처벌 <미래사상연구회> - 2003. 2. 25. 쌀쌀함. 김형효(1989), &#985172;구조주의의 사유체계와 사상--레비스트로쓰, 라깡, 푸꼬, 알뛰세르에 관한 연구&#985173;. &#65378;1장 구조주의의 이념&#65379; 이관후 (필자에 따르면) 구조주의는 주체를 소멸시키고자 하는 반인.. 가족/나의 이야기 2016.03.04
[스크랩] 구조주의란 무엇인가? 1. 구조주의와 무의식 데까르트의 cogito(나는 생각한다)를 벗어나는데 구조주의는 성립한다. 데까르트는 나와 세계사이에 존재하는 사회와 문명과 인간세계를 보지 못하고 나로부터 세계로 건너뛴다. 구조주의는 나의 명증적 의식이 인식의 바탕이 아니라 관계의 그물망을 형성하는 무의.. 가족/나의 이야기 2016.03.04
[스크랩] 푸코를 읽었다 최근에 시선집『공포와 전율의 나날』의 새판을 시인동네에서 냈다. 1993년에 낸『폭력과 광기의 나날』이라는 제목의 시집의 시편이 대부분 그대로 실려 있다. 나로 하여금 글을 쓰도록 줄기차게 괴롭히는 두 악마, 바로 ‘폭력’과 ‘광기’다. 나는 폭력의 실체를 알지 못했다. 광기의.. 가족/나의 이야기 2016.02.29
[스크랩] 레비 스트로스의 "야생의 사고" 야생의 사고 작가클로드 레비 스트로스출판한길사발매1996.04.01리뷰보기 “야생의 사고”를 읽어보기 전에 나는 레비 스트로스의 “슬픈 열대”를 읽어보았다. 야생의 사고와 달리 슬픈 열대는 학문적인 관점에서 기술하기 보다는 학문을 하는 사람이 남아메리카 대륙을 여행하면서 그리.. 가족/개인글 2016.02.29
[스크랩] 라캉의 주체개념 라캉의 주체개념 1)상상계, 상징계, 실재계 라캉 Jacques Lacan 1901-1981 프랑스의 정신분석학자. 에콜 노르말에서 철학을 공부한 후에 의학으로 전향, 소쉬르의 영향 하에서 형성한 이론으로 구조주의의 대표자 중 한 사람이 되었다. 1964년 ‘파리 프로이트파’를 창설(80년에 스스로 해산). 그 .. 가족/나의 이야기 2016.02.23
[스크랩] 전통철학에 반기 든 ‘해체철학’ 자크 데리다(Jacques Derrida) . “높은 도덕기준은 위선을 낳고 금기는 권력을 낳는다” 박재선의 유대인 이야기 전통철학에 반기 든 ‘해체철학’ 자크 데리다 한국인은 철학이라면 우선 난해한 학문으로 여긴다. 요즘엔 ‘문·사·철·시·서·화’가 한 묶음으로 버림받는 대신 정체불명의 효율성 교육이란 게 .. 가족/나의 이야기 2016.02.22
[스크랩] [II] 인문 25. 질 들뢰즈,펠릭스 가타리/ 앙티오이디푸스/ 1972 [II] 인문 25. 질 들뢰즈,펠릭스 가타리/ 앙티오이디푸스/ 1972 질 들뢰즈(Gilles Deleuze, 1925년 1월 18일 ~ 1995년 11월 4일)는 20세기 후반 프랑스의 철학자, 사회학자, 작가이다. 1960년대 초부터 죽을 때까지, 들뢰즈는 철학, 문학, 영화, 예술 분야에서 영향력 있는 저작들을 썼다. 가장 인기를 누린 .. 가족/나의 이야기 2016.02.16
[스크랩] 질들뢰즈&펠릭스가타리, 천개의 고원 "이제 마지막 관점, 즉 유형학적 분석이 남아 있다. 왜냐하면 추상적인 기계들의 일반적인 유형들이 있기 때문이다. 고른판의 특정한 추상적인 기계나 추상적인 기계들은 지층들, 나아가 배치물들을 구성하는 조작들 전체에 소진시키거나 지배하지 못한다. 층들은 고른판 그 자체에 "달.. 가족/나의 이야기 2016.0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