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남길 11 (여산 삼거리 연명교-삼례-완주 지방행정연수원 )
◈ 구간 거리 및 소요시간 : 36km (9시간 03분).
원수저수지 남단 1번국도 여산삼거리 연명교-금강정맥(기맥)양동버스정류장-왕궁저수지 남단-익산보석박물관-
호남고속도로 익산IC-삼례IC-삼례역-만경강가 비비정-전주IC-도로공사수목원-반교교-완주 이서 지방행정연수원
◈ 일시 : 2016. 11. 30(수). 3박4일중 둘째날.
◈ 날씨 ; 종일 흐리고 오후엔 이슬비.
◈ 지도.
삼남길 11 (여산 삼거리 연명교-삼례-완주 지방행정연수원 ) 지도 11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삼남길 11 (여산 삼거리 연명교-삼례-완주 지방행정연수원 ) 지도 11 - 1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삼남길 11 (여산 삼거리 연명교-삼례-완주 지방행정연수원 ) 지도 11 - 2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삼남길 11 (여산 삼거리 연명교-삼례-완주 지방행정연수원 ) 지도 11 - 3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삼남길 11 (여산 삼거리 연명교-삼례-완주 지방행정연수원 ) 지도 11 - 4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삼남길 11 (여산 삼거리 연명교-삼례-완주 지방행정연수원 ) 지도 11 - 5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삼남길 11 (여산 삼거리 연명교-삼례-완주 지방행정연수원 ) 완주 지방행정연수원 세밀도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 트랙.
◈ 일정정리.
06 : 34. 익산 스파랜드(063 853 2721) 찜질방앞의 동익산버스정류장에서 강경가는 61번 버스를 탐(1300원.)
07 ; 26/27. 원수저수지옆 여산 삼거리도착.예수마을교회.799번 도로따라 올라가는데 통행하는 차들이 제법 많다.
07 ; 33. 금강정맥(기맥)마루금. 왕궁면,여산면 표지판. 양동 버스정류장.
금강정맥이 천호산을 내려와 호남고속도로를 건너 용화산으로 오르기전 첫 번째 고개다.
07 : 40. 양동마을 표지석,부활동산 표지석을 지나 799번도로에서 우측 일직선 농로를 따라 간다.
6분후 다시 799번도로를 건너 연정마을을 지나 연정마을 표지석에서 다시 799도로를 따라간다.
07 ; 53. 왕궁저수지 상단 . 동봉2교앞 2차선도로에서 좌측 비포장길을 따라 왕궁저수지 갓길을 가다
5분후 왕궁저수지를 떠나 좌측 골짝으로 올라 언덕을 넘어간다.
08 : 13. 제촌마을.포장도로 따라 우측으로 다리를 건너 왕궁저수지를 돌아간다.
08 ; 23. 왕궁저수지 남단의 수변정(水邊亭).왕궁저수지가 한눈에 조망된다.
08 ; 27. 가족공원앞 사거리.금광 버스정류장.학제마을 표지석.금광마을 표지석.
삼남길은 직진해 왕북초등학교앞으로 가나 보석박물관과 주얼팰리스를 보려고 우측으로 내려간다.
08 : 33.보석박물관(관람시간 10시에서 18시). 주얼팰리스 귀금속판매쎈터(1층 45개. 2층 악세사리,시계20)
기획전시실. 화석전시관등이 모두 10시가 돼야 문을 열고 월요일은 휴무라서 헛탕을 쳤다.
08 : 38. 다시 돌아온 가족공원앞 사거리 . 언덕위의 왕북초교를 지나며 우측으로 공룡공원이 보이고 이어
722도로 지하통로와 익산 IC진입로 지하통로를 연이어 지난다.
08 ; 52. 송선마을 경로회관.보석박물관이 뒤로 보이고 앞쪽 통신탑이 있는 언덕에서 호남고속도로를
지하통로로 건너가 전강마을을 지나고 전강버스정류장이 있는 2차선도로를 건너간다.
09 : 11. 석탑천.여기서부터 구낭골마을로 들어서기까지 약 2.5km를 석탑천둑길을 따라가며,
석탑천 건너는 완주 일반산업단지의 공장들이 보인다.
통정교와 구암교를 지나며 좌측으로 배매산과 옥녀봉,몽실산이 건너다 보인다.
09 : 41. 석탑천과 작별하고 우측 구낭골마을을 지나 언덕위에서 주변산들을 돌아보고 능선길따라 좌측으로 간다.
10 ; 02. 원구암마을표지석과 열린문교회,원구암버스종점(익산에서 오는 75번과 전주에서 오는 508번)버스정류장.
10 ; 22. 정산마을입구의 400년생 은행나무 보호수(1982).정산마을과 자운영마을인 학동마을을 지난다.
10 ; 38. 익산-포항고속도로 지하통로를 지나 학동제앞. 2차선도로에서 우측 학동저수지로 가는데 개들이 난리를 친다.
저수지를 지나 신금리 농원표지판이 있는 2차선도로를 건너 조경수 묘목밭을 지난다.
10 ; 51. 왕궁산업앞.우측으로 천주교익산공소가는길이 있고 전주가는 313번버스가 돌려 나간다.
313번 농원종점 정류장 삼거리에서 우측으로 가며 자동차 해채작업장,남해화학앞을 지난다.
11 ; 03. 삼례 요금소앞 .진입도로를 건너 삼례여중,중앙초교,삼례동부교회를 지나며 완주군 삼례읍을 지난다.
11 ; 22/12 : 00. 삼례사거리.삼남길은 1번국도를 건너 곧장 간다. 1번국도 건너 중국집에서 짬뽕으로 점심
삼례초교,삼례성당,삼례책마을을 지나 구 삼례역으로 간다.
12 : 13. 구 삼례역(세계막사발미술관)에서 좌측으로 생태탐방로따라 비비정쪽으로 간다.
12 ; 20. 삼례역뒤. 탐방로따라 27번국도 아래를 지나 언덕위에 올라 27번국도와 나란히 간다.
12 ; 30. 언덕위 도로삼거리.비비정 0.4km. "비비낙안" 입간판쪽으로 직진해 오른다.
12 ; 33. 40.3m 돌 삼각점. 산꾼 본능으로 철망울타리안에 있는 삼각점을 찾아본다.
삼각점 건너편 정점엔 전망대와 공연장과 카페, 2016 10.22 마을축제 현수막이 걸려있다.
만경강과 만경강을 건너는 신,구 철교와 삼례교다리 뒤로 전주시내와 모악산이 조망된다.
계단을 내려가 농가레스토랑(시설은 현대)엔 사람들이 많다.
12 ; 53. 비비정(飛飛亭). 비비정마을에서 다시 우측 언덕길을 올라가면 삼거리에서 온 포장도로를 다시 만나고
좌측 아래로 조금 내려가면 우측엔 호산서원, 좌측엔 비비정 정자가 있다.
비비정(飛飛亭)은 선조6년(1573)최영길이 창건. 비비낙안(飛飛落雁)이라하여 완산8경중 하나다.
우측 폐 만경철교는 지금 카페 건설중이고 강가로 내려가는길은 막아놔 비비정으로 되돌아 나와
정자아래 도로로 내려가 만경강철교밑을 지나 강변둑길을 따라 간다.
13 : 12.비비정방수문을 지나 삼례교.만경강 표지판. 만경강을 건너가 다리끝에서 우측 둑방길로 내려가
둑방길따라 신만경강철로밑을 지나며 강건너로 비비정이 그림같이 보인다.
13 ; 34. 구 삼례철교. 좌측으로 선로가 걷힌 철길을 따라 5분쯤 가서는 철길을 내려가 우측 원화전마을 지나간다.
13 : 50/00. 들판 가운데의 쉼터.비가 내리기 시작해 우비를 꺼내입고 좌로 꺽어 전주나들목을 보며 들판을 지나
조종천을 건너 호남고속도로옆에서 좌로 꺽어 용정동 신기마을을 지난다.
14 ; 26. 전주요금소앞.우측으로 지하통로를 건너 진입로교회가 있는 언덕을 넘어가 월드컵경기장이 보이는
조촌교차로로 건너가 21.26도로를 따라 우측으로가다 좌측 수목원쪽 도로를 따라 간다.
14 : 47. 도로공사 수목원.입장료는 무료.수목원을 좌측에 끼고 호남고속도로와 나란히 가는 비포장길을 따라 가다
지하통로를 통과하고 다시 고속도로옆길을 가며 배나무과수원들을 지난다.
15 : 21. 복숭아밭 낡은 농막에서 우측으로 꺽어 고속도로와 멀어져 1번국도 반교육교를 건너 계속 능선길을 따라 간다.
15 : 37. 46.6m밑 삼거리에서 좌측으로 간다.직진해 200 m 가면 전주가는 423. 428번 득정마을버스정류장이 있다.
시간이 없으면 여기서 오늘일정을 끝낼려고 했는데 시간 여유가 있어 좀더 진행한다.
수청마을을 지나 반변천은 공사중이라 막아놨고 질퍽인다.우측으로 꺽어 양어장을 지나간다.
15 ; 59. 반교교. 쉼터에서 잠시 쉬고 비는 추적추적오는데 "완주관상어단지" "물고기마을" 표지판이 있는
다리를 건너 2차선도로를 따라 가는데 도로 좌측으로는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울타리가 계속된다.
16 ; 20. 언덕위 사거리.좌측은 농생명로 원예특작과학원.,우측은 정농대농길.정농마을. 길건너엔 농원삼거리 버스정류장.
혁신도시개발로 온맵지도와 현지지형이 다르다.길건너 4차선도로를 따라 간다.
16 ; 25/55. 지방행정연수원앞.72번(전주역-이서.20분간격). 241.291.26(김제-도청.17회)서울행 버스도 있다.
좌측에 행정연수원있 있고 앞쪽은 혁신도시로 아파트와 원룸촌등이 있다.
날씨도 궂고 해도 다돼 오늘은 여기서 접고 길 건너 연수원앞 버스정류장에서 72번 타고 전주대로 가서(30여분소요)
다시 119번 버스로 환승해 15분거리의 효자동으로 가서 저녁먹고 로뎀스파 찜질방에 들었다.
인터넷에서 환승할 정류장을 "전주대경륜장"으로 알고 왔고 버스의 전광판도 "전주대경륜장"이 있는데
전주대,전주대후문,전주대사대부고등은 안내방송을 하는데 정작 전주대 경륜장 정류장은 없어
3 정거장을 지나쳐갔다 다시 전주대( 전주대가 전주대 경륜장이란다)으로 와서 환승했다.
18 ; 58. 찜질방 근처 광양불고기본가에서 저녁먹고 로템트리스파 찜질방(9000원.063 236 0082)에서 2박
◈ 후기.
06 : 34. 익산 스파랜드(063 853 2721) 찜질방앞의 동익산버스정류장에서 강경가는 61번 버스를 탐(1300원.)
동익산버스정류장좌측은 이마트, 우측은 남부시장 길건너는 모텔촌이다.
요즘 보기드문 공중전화박스도 있다.
07 ; 26/27. 원수저수지옆 "여산 삼거리"도착.예수마을교회.799번 도로따라 올라가는데 통행하는 차들이 제법 많다.
07 ; 33. 금강정맥(기맥)마루금. 왕궁면,여산면 표지판. 양동 버스정류장.
금강정맥이 천호산을 내려와 호남고속도로를 건너 용화산으로 오르기전 첫 번째 고개다.
07 : 40. 양동마을 표지석,부활동산 표지석을 지나 799번도로에서 우측 일직선 농로를 따라 간다.
6분후 다시 799번도로를 건너 연정마을을 지나 연정마을 표지석에서 다시 799도로를 따라간다.
연정마을 표지석 바로앞의 동봉교.
799도로를 따라간다.
07 ; 53. 왕궁저수지 상단 .
동봉2교앞 2차선도로에서 좌측 비포장길을 따라 왕궁저수지 갓길을 가다
5분후 왕궁저수지를 떠나 좌측 골짝으로 올라 언덕을 넘어간다.
08 : 13. 제촌마을.
포장도로 따라 우측으로 다리를 건너 왕궁저수지를 돌아간다.
08 ; 23. 왕궁저수지 남단의 수변정(水邊亭).
수변정(水邊亭)에서 왕궁저수지가 한눈에 조망된다.
우측끝에서 산등성이를 넘어왔다.
수변정(水邊亭)에서 왕궁저수지 수문과 뒤로 우제봉(좌0과 시대산(우229.1m).
08 ; 27. 가족공원.
08 ; 27. 가족공원앞 사거리.금광 버스정류장.학제마을 표지석.금광마을 표지석.
삼남길은 직진해 왕북초등학교앞으로 가나 보석박물관과 주얼팰리스를 보려고 우측으로 내려간다.
08 : 33.보석박물관(관람시간 10시에서 18시). 주얼팰리스 귀금속판매쎈터(1층 45개. 2층 악세사리,시계20)
기획전시실. 화석전시관등이 모두 10시가 돼야 문을 열고 월요일은 휴무라서 헛탕을 쳤다.
08 : 38. 다시 돌아온 가족공원앞 사거리 . 언덕위의 왕북초교를 지나며 우측으로 공룡공원이 보이고 이어
722도로 지하통로와 익산 IC진입로 지하통로를 연이어 지난다.
08 ; 52. 송선마을 경로회관.보석박물관이 뒤로 보이고 앞쪽 통신탑이 있는 언덕에서 호남고속도로를
지하통로로 건너가 전강마을을 지나고 전강버스정류장이 있는 2차선도로를 건너간다.
통신탑이 있는 언덕에서 땡겨본 보석박물관.
09 : 11. 석탑천.여기서부터 구낭골마을로 들어서기까지 약 2.5km를 석탑천둑길을 따라가며,
석탑천 건너는 완주 일반산업단지의 공장들이 보인다.
통정교와 구암교를 지나며 좌측으로 배매산과 옥녀봉,몽실산이 건너다 보인다.
09 : 41. 석탑천과 작별하고 우측 구낭골마을을 지나 언덕위에서 주변산들을 돌아보고 능선길따라 좌측으로 간다.
구낭골마을을 지나 언덕위에서 뒤 돌아 본 배매산(앞).
구낭골마을을 지나 언덕위에서 뒤 돌아 본 옥녀봉(좌0,몽실산(우).
10 ; 02. 원구암마을표지석과 열린문교회,원구암버스종점(익산에서 오는 75번과 전주에서 오는 508번)버스정류장.
10 ; 22. 정산마을입구의 400년생 은행나무 보호수(1982).
정산마을과 자운영마을인 학동마을을 지난다.
자운영 학동가공센타 앞에는 자운영 포토존이 있는데 앞에 요놈이 얼씬도 못하게 지키고 있다.
학동버스장과 자운영마을안내판.
10 ; 38. 익산-포항고속도로 지하통로를 지나 학동제앞. 2차선도로에서 우측 학동저수지로 가는데 개들이 난리를 친다.
저수지를 지나 신금리 농원표지판이 있는 2차선도로를 건너 조경수 묘목밭을 지난다.
10 ; 51. 왕궁산업앞.우측으로 천주교익산공소가는길이 있고 전주가는 313번버스가 돌려 나간다.
313번 농원종점 정류장 삼거리에서 우측으로 가며 자동차 해채작업장,남해화학앞을 지난다.
11 ; 03. 삼례 요금소앞 .
진입도로를 건너 삼례여중,중앙초교,삼례동부교회를 지나며 완주군 삼례읍을 지난다.
11 ; 22/12 : 00. 삼례사거리.삼남길은 1번국도를 건너 곧장 간다. 1번국도 건너 중국집에서 짬뽕으로 점심
삼례초교,삼례성당,삼례책마을을 지나 구 삼례역으로 간다.
삼례초교와 뒤로 우석대학교.
12 : 13. 구 삼례역(세계막사발미술관)에서 좌측으로 생태탐방로따라 비비정쪽으로 간다.
12 ; 20. 삼례역뒤.
탐방로따라 27번국도 아래를 지나 언덕위에 올라 27번국도와 나란히 간다.
12 ; 30. 언덕위 도로삼거리.비비정 0.4km. "비비낙안" 입간판쪽으로 직진해 오른다.
12 ; 33. 40.3m 돌 삼각점. 산꾼 본능으로 철망울타리안에 있는 삼각점을 찾아본다.
삼각점 건너편 정점엔 전망대와 공연장과 카페, 2016 10.22 마을축제 현수막이 걸려있다.
만경강과 만경강을 건너는 신,구 철교와 삼례교다리 뒤로 전주시내와 모악산이 조망된다.
계단을 내려가 농가레스토랑(시설은 현대)엔 사람들이 많다.
12 ; 33. 40.3m 돌 삼각점에서 전망대 카페.
공연장과 카페
전망대에서 만경강을 건너는 신,구 철교.
전망대에서 모악산.
12 ; 53. 비비정(飛飛亭).
비비정마을에서 다시 우측 언덕길을 올라가면 삼거리에서 온 포장도로를 다시 만나고
좌측 아래로 조금 내려가면 우측엔 호산서원, 좌측엔 비비정 정자가 있다.
비비정(飛飛亭)은 선조6년(1573)최영길이 창건. 비비낙안(飛飛落雁)이라하여 완산8경중 하나다.
전라북도 완주군 삼례읍 후정리의 남쪽 언덕 위에 세운 정자이다. <완산지 完山誌>에 의하면 이 정자는 1573년(선조 6)에 무인(武人) 최영길(崔永吉)이 건립하였으며 그후 철거되었다가 1752년(영조 28)에 관찰사 서명구(徐命九)가 중건하였다고 한다. 다시 오랜 세월이 흘러 정자가 없어졌다가 1998년에 복원되었다.
우암 송시열(宋時烈 1607~1689)은 최영길의 손자 최양의 청탁을 받고 비비정기(飛飛亭記)라는 기문(記文)을 써주었다. 송시열은 기문에서 조업(祖業)으로 무관을 지낸 최영길과 그의 아들 최완성, 손자 최양을 언급하고, 최양이 살림이 넉넉하지 못함에도 정자를 보수한 것은 효성에서 우러난 일이라 칭찬하며 다음과 같은 내용을 덧붙였다. ‘비비정이라 이름한 뜻을 물으니 지명에서 연유된 것이라 하나 내가 생각하기로는 그대의 가문이 무변일진대 옛날에 장익덕은 신의와 용맹으로 알려졌고, 악무목은 충과 효로 알려진 사람이었으니 두 사람 모두 이름이 비자였다. 장비와 악비의 충절을 본뜬다면 정자의 규모는 비록 작다 할지라도 뜻은 큰 것이 아니겠는가. 한편 예로부터 이곳은 기러기가 쉬어가는 곳이라 하여 ‘비비낙안’이라 하였고 완산8경 중의 하나이다.’
비비정 아래로는 한내(寒川)라 부르는 강(삼례천)이 유유히 흐르고, 주변으로는 드넓은 호남평야가 펼쳐져 있어 풍광이 매우 아름답다. 한내는 물이 유난이 차갑다 하여 붙은 이름으로, 깊은 산 속에서 물이 흘러 형성된 소양천과 고산천이 합류하는 지점이자 전주천과 삼천천이 합류하여 만경강이 시작되는 지점이기도 하다. 한내는 군산과 부안에서 오는 소금과 젓갈을 실은 배가 쉴 새 없이 오르내렸던 곳이며, 충무공 이순신이 백의종군을 한 마지막 길목이었다.
강변에는 백사장이 펼쳐져 있는데 마을 노인들에 의하면 지금은 백사장에 갈대나 풀이 무성해 모래밭이 보이지 않지만 40~50년 전만 해도 잔풀 하나 없는 모래밭이 햇볕을 받아 하얗게 빛났다고 한다. 완산8경 중 하나인 ‘비비낙안(飛飛落雁)’은 비비정에서 한내 백사장에 내려앉은 기러기떼를 바라보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선비들은 비비정에 올라 술을 마시고 시와 운문을 지으며 풍류를 즐겼다 한다
12 ; 53. 비비정(飛飛亭)에서 만경강철로.
회색빛이 보기싫다.예쁘게 색칠을 좀 했으면 좋겠다.
우측 폐 만경철교.
호산서원,
우측 폐 만경철교는 지금 카페 건설중이고 강가로 내려가는길은 막아놔 비비정으로 되돌아 나와
정자아래 도로로 내려가 만경강철교밑을 지나 강변둑길을 따라 간다.
13 : 12.비비정방수문을 지나 삼례교.만경강 표지판.
만경강을 건너가 다리끝에서 우측 둑방길로 내려간다.
삼례교 중간에서 우측으로 본 비비정방수문, 40.3m(우측숲위), 신만경강철로(좌).
삼례교 다리끝에서 우측 둑방길로 내려가 둑방도를 따라 간다.
만경강 건너로 비비정이 그림같이 보인다.
13 ; 34. 구 삼례철교.
좌측으로 선로가 걷힌 철길을 따라 5분쯤 가서는 철길을 내려가 우측 원화전마을 지나간다.
철길을 내려가 우측 원화전마을 지나간다.
13 : 50/00. 들판 가운데의 쉼터.비가 내리기 시작해 우비를 꺼내입고 좌로 꺽어 전주나들목을 보며 들판을 지나
조종천을 건너 호남고속도로옆에서 좌로 꺽어 용정동 신기마을을 지난다.
전주요금소앞으로 가는 고속도로옆길이다.
하나 먹어보니 아직 떫다. 놔두면 다음사람 간식이 되겠지...
14 ; 26. 전주요금소앞.우측으로 지하통로를 건너 진입로교회가 있는 언덕을 넘어가 월드컵경기장이 보이는
조촌교차로로 건너가 21.26도로를 따라 우측으로가다 좌측 수목원쪽 도로를 따라 간다.
조촌교차로에서 월드컵경기장.
14 : 47. 도로공사 수목원.입장료는 무료.수목원을 좌측에 끼고 호남고속도로와 나란히 가는 비포장길을 따라 가다
지하통로를 통과하고 다시 고속도로옆길을 가며 배나무과수원들을 지난다.
입장료는 무료이나 입장권을 쓰고 들어가야한다.
동상에 정이간다.
수목원을 좌측에 끼고 호남고속도로와 나란히 가는 비포장길을 따라 간다.
15 : 21. 복숭아밭 낡은 농막에서 우측으로 꺽어 고속도로와 멀어져 1번국도 반교육교를 건너 계속 능선길을 따라 간다.
1번국도 반교육교를 건너 계속 능선길을 따라 간다.
15 : 37. 46.6m밑 삼거리에서 좌측으로 간다.직진해 200 m 가면 전주가는 423. 428번 득정마을버스정류장이 있다.
시간이 없으면 여기서 오늘일정을 끝낼려고 했는데 시간 여유가 있어 좀더 진행한다.
수청마을을 지나 반변천은 공사중이라 막아놨고 질퍽인다.
우측으로 꺽어 양어장을 지나간다.
15 ; 59. 반교교.
쉼터에서 잠시 쉬고 비는 추적추적오는데 "완주관상어단지" "물고기마을" 표지판이 있는
다리를 건너 2차선도로를 따라 가는데 도로 좌측으로는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울타리가 계속된다.
16 ; 20. 언덕위 사거리.
좌측은 농생명로 원예특작과학원.,우측은 정농대농길.정농마을. 길건너엔 농원삼거리 버스정류장.
혁신도시개발로 온맵지도와 현지지형이 다르다.길건너 4차선도로를 따라 간다.
16 ; 25/55. 지방행정연수원앞.72번(전주역-이서.20분간격). 241.291.26(김제-도청.17회)서울행 버스도 있다.
좌측에 행정연수원있 있고 앞쪽은 혁신도시로 아파트와 원룸촌등이 있다.
날씨도 궂고 해도 다돼 오늘은 여기서 접고 길 건너 연수원앞 버스정류장에서 72번 타고 전주대로 가서(30여분소요)
다시 119번 버스로 환승해 15분거리의 효자동으로 가서 저녁먹고 로뎀스파 찜질방에 들었다.
18 ; 58. 찜질방 근처 광양불고기본가에서 저녁먹고 로템트리스파 찜질방(9000원.063 236 0082)에서 2박
'가족 > 개인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삼남길 지도(해남 구간) (0) | 2018.06.11 |
---|---|
[스크랩] 전북삼남길 지도 (0) | 2018.06.11 |
[스크랩] 삼남길 10 (논산 은진 -연무대-여산삼거리 연명교 ) (0) | 2018.06.03 |
[스크랩] 삼남길 21 (도암터미널 - 사내방조제 - 남창 휴게소 ) (0) | 2018.06.03 |
[스크랩] 삼남길 20 (강진터미널- 백년사-도암항촌 -가우도) (0) | 2018.0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