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개인글

[스크랩] 삼남길 21 (도암터미널 - 사내방조제 - 남창 휴게소 )

한적한길 2018. 6. 3. 23:26


삼남길 21 (도암터미널 - 사내방조제 - 남창 휴게소 )

 

◈ 구간 거리 및 소요시간 :  30.24km   (8시간 29분).

                                            
도암 버스터미널-항촌마을 - 도암천-벌정리 논정마을-호래비섬앞-사내방조제-내동항-원동마을회관-

신월방조제- 토도앞-만수리 양화마을-와룡리 와룡짜두락샘-율도앞-오산 어촌체험마을-차경마을 남창휴게소.
 

 

 일시 : 2017. 3. 22(수). 2박3일중 둘째날. 


◈ 날씨 ;  봄날씨로 약간은 더움..

 

◈ 지도.

 


삼남길 21 (도암터미널 - 사내방조제 - 남창 휴게소 )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삼남길 21 (도암터미널 - 사내방조제 - 남창 휴게소 ) 지도1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삼남길 21 (도암터미널 - 사내방조제 - 남창 휴게소 ) 지도2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삼남길 21 (도암터미널 - 사내방조제 - 남창 휴게소 ) 지도3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삼남길 21 (도암터미널 - 사내방조제 - 남창 휴게소 ) 지도4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 트랙.

삼남길21(도암-남창).gpx

 

다음지도에서 트랙 보기

 

◈ 일정정리.

 

06 : 30. 강진 모란모텔에서 빵으로 아침을 먹고 도암가는 버스를 탔다(1600원)
          어제 오후부터 계속 발뒷끔치가 아파  터미널에 나와서 신발 갈창을 열어보니 뾰족한 못이 튀어나와 있다.
          지난번에 창갈이 하고 처음 신고 왔는데  수제화의 명문이라는 집에서 이런일이 있다니 어이가 없다.
         몇 년전 서울  을지로 수제화 전문점에서 45만원을 주고 맟춘 신발인데 맞출때부터 속을썩여 5번을 뜯어고쳐왔는데도 영 엉터리다.
        강진 터미널 발권기에서 발권을 했더니 군내버스와는 알력이 있어 안된다고해서 취소하고 차에서 다시 결재했다.

06 ; 40/55. 도암터미널. 폐허가 된 공터다.불켜진곳을 찾아가니 떡방아간이다.공구함을 빌려 튀어나온 못을 두드려넣고
              파는 떡은 없고 맞춤떡만 만든단다. 술빵떡을 조금줘서 얻어넣고 하천쪽이 아니고 식육점,과일가게앞으로 난 도로를 따라 간다.

07 ; 02. 항촌마을 표지석과 2층 정자가 있는 항촌마을 사장나무. 항촌리 회관을 지나 석문산과 덕룡산을 보며 항촌2교가 있는 819번도로를 건너간다.

07 ; 17. 삼남길 5코스 하온길(뒤 표창마을.좌 장군봉정상) 이정표에서 좌측 장군봉정상쪽 산길로 오른다.

07 ; 28. 장군봉( 83.6m). 해남 460.1996 삼각점.오름길은 시원찮으나  내림길은 뚜렷하다.

07 ; 47. 옥전마을회관.마을지붕위로 덕룡산이 보이고 2차선도로를 건너 주작산을 정면으로 보며 곧게뻗는 농로를 따라간다.

07 : 59. 도암천. 좌로 꺽어 둑길을 따라 200m쯤가서  우측 옥전1교를 건너 도암천 우측 둑길을 따라 1.8km를 간다.

08 ; 32.도암천과 작별.항촌리와 벌정리를 잇는 잠수다리. 수문이 있는  배수장 우측으로 꺽어간다.
            덕룡산, 석문산, 주작산. 가우도가 보인다.도암천을 따라 오면서 표지기는 안보인다.

08 ; 42. 벌정리 영동농장 강진농장.대형태극기들과 국기에 대한 충성맹세비.태극기들은 김욤복씨가 자기 농장에 세운것.
           농장을 우측에 끼고 돌아 앞 능선을 넘어간다.

09 : 04. 농정마을. 다시 앞 산을 넘어 우측으로 내려간다.

09 ; 22. 차경마을 2차선도로다.방금 시내버스 한 대가 좌측에서 와서 우측으로 넘어간다.
              도로에 올라서자마자  다시 좌측으로 내려서 우측 파란지붕의 농기구창고앞을 지나 좌측 해안도로로 나갔다.

09 ; 29. 2차선 해안도로. 도로옆  데크길을 따라 우측으로 해안을 삥돌아간다. 좌측 해변은 갈대밭이다.
            선답자 트랙은 농기구창고를 지나 우측으로 나가  좌측 쪽뻗은 농로로 송촌마을앞까지 가서 좌측 해안도로로 나왔는데
            해안도로 데크길에 페인트 이정표가 있는걸보니 2차선도로로 올라가기전에  바로 좌측 해안도로로 길을 돌렸나보다.

09 ; 41. 우측 농롤로 돌아온 옛길트랙을 만나서 계속해안도로를 따라 간다.

09 ; 53. 파란지붕의 풍수수산앞.냄새가 많이 난다. 좌측 일직선 논정방파제는 중간에 끊겨있다.반원을 그리며 돌아왔다.
           뒤로 덕룡산-주작산줄기와 강진만 건너 산들이 보인다.

10 : 08. 산모랭이를 돌아가면 홀애비섬입구 사거리다. 3.4km 사내방조제가 시작되고 협력하는마을 사초마을 표지석 뒤에
            3.9m 통합기준점이 있고  해변공원 터널보도앞에 낡은 삼남길 강진군 구간 5코스 라온길(사초마을-다산수련원앞.18.5km)안내판.
           사초해변공원엔 4.1~2일 있을 강진사초 3회 개불& 낙지축제 준비를 하느라고 주민들이 주변정리를 하고 있다.

10 : 25. 좌측으로 강진만 바다 건너로  마량항과 사자지맥의 산들이 보이고 우측은 바다가  호수가 된 사내호 건너로 대둔산과 덕룡산이 조망
            사내호에서 쪽배타고 나가 그물을 걷고오는 분을 만나 얘기를 한다. 봄이 돼서 새우그물을 철수 시키는 중이란다. 

10 : 52/12. 해남군 표지판을 지나 사내호 표지석과 승두섬 유래비와 사내교수문이 있는 쉼터에서 점심.
            돌을주워 또 신발에 튀어나온 못을 박고. 
           

11 : 24.  사내방조제 끝.사초마을과 내동마을에서 한자씩따서 사내방조제인듯.좌측 내도(內島)뒤로 고금도가 보인다.

11 ; 30. 내동리밭섬(외도) 고분군. 22.5m 삼각점과  석관묘 고분 2기. 정자와 운동기구가 있는곳으로 되돌아 내려가 도로따라 간다.

11 ; 42. 내동항.완도의 상황봉과 숙승봉,장죽도와 고마도를 보고 봉대산과 대둔산을 바라보며 해안가를 따라 사동마을을 지나간다.

12 ; 04. 원동리회관앞.봉태산을 우측에 끼고 작은 언덕을 넘어간다.85세된 힐머니도 유모차를 밀고 마늘밭 풀 뽑으러 간다.

12 ; 30.좌측으로 장죽도로 들아가는 바닷길이 열려있다.계속 해변가를 따라 간다.

12 ; 38. 신월방조제를 건너간다.좌측으로 송도,토도,장구도가 일렬로 서있고,우측엔 대둔산,위봉,두륜산이, 뒤론 오소재-주작산 능선조망.
            방조제끝 신월포구를 지나 계속 세멘길을 따라 산모랭을 돌아가며 장죽도가 가깝게 보인다.

 13 : 01.  지도상의 성불암은 없어지고 대신 빨간 별장집들이 몇채있는데 비어있다.좌측 장구도쪽으로 전봇대가 선 바닷길이 저만치 뻗어있다.
                6각정이 있는 갈두마을 포구를 지나며
비닐하우스 짓는곳에서 철근토막을 주워 배낭에 넣고 가며 수도 없이 신을 벗었다.

13 ; 22. 옛 토도리버스정류장.좌측으로 토도(兎島)로 들어가는 바닥길이 열려있다.토도는 완도군이다.
           군경계를 지도에서 보면 해안선따라 육지는 해남땅이고 육지에서 가까워도 섬은 모두 완도땅이다.
             대둔산,위봉을 정면으로 보며 만수리 수문을 지나 우측 언덕을 넘어가면 양화마을이다.

13 : 54. 만수마을 표지석이 있는 2차선도로.양화마을 앞 언덕은 조망이 좋아 대둔산과 위봉,달마산과 도솔봉,완도대교와 숙승봉을 돌아보고
           능선세멘길따라 조금 내려오면 만수마을 표지석이다. 2차선 도로따라 가다 좌측 세멘길로 해안가를 돌아가며 지나온길을 돌아본다.

14 ; 21. 와룡 짜우락샘(龍淚井).용의 두눈에서 솟아오르는 신비의 바다샘.완도대교와 숙승봉이 가깝게 보인다.
            와룡마을을 지나  와룡교에서 다시 2차선도로를 만나 12분정도 가서는 좌측 세멘길을 따라 황토언덕을 내려가면 율도앞 해변이다.

14 ; 52. 율도입구. 드넓은 뻘밭이다.우측으로 꺽어 달마산을 보며 몇분가면 오산마을 어촌체험장이다.

14 ; 56. 오산 어촌체험마을 데크광장.완도 숙승봉이 넓은 갯벌 넘어로 건너다 보인다.
            두륜산-대둔산-달마산능선을 보며 2차선도로를 건너 대형물탱크가 있는 능선을 넘어가며 남창휴게소 보인다.

15 : 20/21. 55번국지도.길 건너에 차경마을 표지석.우측에 땅긑농수산물직판장. 남창휴게소.삼남길 안내판은 나무판만 있고  내용은 없다.
           원래 계획은 여기서 7~ 8km쯤 더 간 서홍입구에서  해남으로 나갈 계획이었는데 신발이 탈이 나서 여기서 끝내고 해남으로 나갔다.
          북평면 소재지인 남창으로 가야 해남가는 교통편이 있어 차편을 물어보니 땅긑농수산물직판장 사장님이 데려다 주신다.고맙다.

15 : 26/16 : 00. 남창에서 해남가는 직행 버스 타고 .

16 : 25. 해남에 도착하여 구두수선집에 가니 깔창만 두 개 덧대주고 수선은 만든곳으로 보내야 한단다.
            밥집을 찾아 기웃거리다 갈낙탕을 18000원주고 시켰는데  차라리 짜짱면이나 먹을걸 그랬다.
           해남엔 찜질방이 두 곳 있어 터미널옆 참숯불가마찜질방에서(10000원) 2박.

 

.
             

..

 .

7 ; 02. 항촌마을 표지석과 2층 정자가 있는 항촌마을 사장나무.
항촌리 회관을 지나 석문산과 덕룡산을 보며 항촌2교가 있는 819번도로를 건너간다.

 

 

 

석문산과 항 촌마을 표지석과 2층 정자가 있는 항촌마을 사장나무(좌)

 

항촌2교에서 닥룡산.

 

 

07 ; 17. 삼남길 5코스 하온길(뒤 표창마을.좌 장군봉정상) 이정표에서 좌측 장군봉정상쪽 산길로 오른다.

07 ; 28. 장군봉( 83.6m). 해남 460.1996 삼각점.오름길은 시원찮으나  내림길은 뚜렷하다.

 

 

 옥전마을지나 2차선도로를 건너 파란지붕의 축사앞에서 주작산을 정면으로 보며 곧게뻗는 농로를 따라간다.

 

 

07 : 59. 도암천에서 뒤 돌아 본 옥전마을과 장군봉.
좌로 꺽어 둑길을 따라 200m쯤가서  우측 옥전1교를 건너 도암천 우측 둑길을 따라 1.8km를 간다.

 

 

도암천에서 본 석문산과 도암,항촌마을(우측 큰 나무있는곳).

 

 

도암천에서 본 주직산(좌).

 

옥전1교에서 본 덕룡산능선.
가운데 허연것은 태양열집열판들.

 

 

옥전1교에서 다시 본 석문산과 도암,항촌마을(우측 큰 나무있는곳).

 

 

08 ; 32.도암천과 작별.항촌리와 벌정리를 잇는 잠수다리.
수문이 있는  배수장 우측으로 꺽어간다.
            덕룡산, 석문산, 주작산. 가우도가 보인다.도암천을 따라 오면서 표지기는 안보인다.

 

 

수문이 있는  배수장 우측으로 꺽어가며 좌측에 파란지붕의 대형태극기들이 있는 영동농장이 보인다.

 .

땡겨본 가우도의 청자타워.

 

 

08 ; 42. 벌정리 영동농장 강진농장.대형태극기들과 국기에 대한 충성맹세비.태극기들은 김욤복씨가 자기 농장에 세운것.
           농장을 우측에 끼고 돌아 앞 능선을 넘어간다.

 

 

 

 농정마을.
다시 앞 산을 좌측으로 넘어 우측으로 내려간다.

 

 

09 ; 20.산을 내려간 세멘길이다.
우측 바로위가 2차선도로다.
삼남길이 전에는 우측을 ㅗ올랐으나 지금은 수정해서 좌측으로 내려가 해안도로따라 건너편 파란지붕의 풍수수산으로 갔나보다.

 

 

09 ; 22. 차경마을 2차선도로다.
방금 시내버스 한 대가 좌측에서 와서 우측으로 넘어간다.
              도로에 올라서자마자  다시 좌측으로 내려서 우측 파란지붕의 농기구창고앞을 지나 좌측 해안도로로 나갔다.

 

 

9 ; 29. 2차선 해안도로. 
도로옆  데크길을 따라 우측으로 해안을 삥돌아간다. 좌측 해변은 갈대밭이다.
            선답자 트랙은 농기구창고를 지나 우측으로 나가  좌측 쪽뻗은 농로로 송촌마을앞까지 가서 좌측 해안도로로 나왔는데
            해안도로 데크길에 페인트 이정표가 있는걸보니 2차선도로로 올라가기전에  바로 좌측 해안도로로 길을 돌렸나보다.

 

 

 좌측선으로 왔는데 우측선으로 수정한듯.

 

 

 데크길을 따라 우측으로 해안을 삥돌아간다. 좌측 해변은 갈대밭이다.

 

09 ; 41. 우측 농롤로 돌아온 옛길트랙을 만나서 계속해안도로를 따라 간다.

 

 

09 ; 53. 파란지붕의 풍수수산앞.
냄새가 많이 난다. 좌측 일직선 논정방파제는 중간에 끊겨있다.반원을 그리며 돌아왔다.
           뒤로 덕룡산-주작산줄기와 강진만 건너 산들이 보인다.

 

일직선 논정방파제는 중간에 끊겨있다.반원을 그리며 돌아왔다.
지나온 파란주붕의 농기계창고가 보인다.


 

강진만 바다 건너로  마량항(우측끝).

 

 

홀애비섬.

 

 

홀애비섬 진입도로.

 

0 : 08. 산모랭이를 돌아가면 홀애비섬입구 사거리다. 3.4km 사내방조제가 시작되고 협력하는마을 사초마을 표지석 뒤에
            3.9m 통합기준점이 있고  해변공원 터널보도앞에 낡은 삼남길 강진군 구간 5코스 라온길(사초마을-다산수련원앞.18.5km)안내판.
           사초해변공원엔 4.1~2일 있을 강진사초 3회 개불& 낙지축제 준비를 하느라고 주민들이 주변정리를 하고 있다.

 

 

사초마을 표지석 뒤에
            3.9m 통합기준점이 있고  해변공원 터널보도앞에 낡은 삼남길 강진군 구간 5코스 라온길(사초마을-다산수련원앞.18.5km)안내판.

 

낡은 삼남길 강진군 구간 5코스 라온길(사초마을-다산수련원앞.18.5km)안내판.

 

해변공원과 뒤로 대둔산(좌)-두륜산-위봉(우).

 

 

홀애비섬과 마량항(우).

 

 

사내호 뒤로 주작산-덕룡산.

 

 

 오소재- 주작산 암릉.

 

 대둔산-두륜산-위봉.

10 : 25. 좌측으로 강진만 바다 건너로  마량항과 사자지맥의 산들이 보이고 우측은 바다가  호수가 된 사내호 건너로 대둔산과 덕룡산이 조망
            사내호에서 쪽배타고 나가 그물을 걷고오는 분을 만나 얘기를 한다. 봄이 돼서 새우그물을 철수 시키는 중이란다. 

 

 북섬과 고금도.

 

 

 사후도.고마도. 완도

 

0 : 52/12. 해남군 표지판을 지나 사내호 표지석과 승두섬 유래비와 사내교수문이 있는 쉼터에서 점심.
            돌을주워 또 신발에 튀어나온 못을 박고. 
           

 

사내교와 수문.

 

 

사내호 표지석과 승두섬 유래비.

사내호는 1990.5.15 ~ 1993.12에 강진군 신전면 사초리와 해남군 북일면 내동리를 잇는
방조제 길이 3260m.배수갑문 4m X 3m 6 連. 사초와 내동에서 한자씩 따서 사내방조제인듯.

송두섬은 내동 산1번지로 되승(升)말두(斗)를 따서 곡식을 되는 그릇이란뜻으로 면적 600평 높이 20m섬이
배수갑문 설치로 없어졌다.

 

사내호 표지석과 승두섬 유래비에서 뒤 돌아 본 호래비섬(우).

 

 

사내호 표지석과 승두섬 유래비에서 마량항(좌)과 북섬(우).

 

 

사내호 표지석과 승두섬 유래비에서 내도(內島.좌).고금도.외도(우).

 

 

사내호 표지석과 승두섬 유래비에서 대둔산(좌)-두륜산-위봉(우).

 

 

사내호 표지석과 승두섬 유래비에서 오소재(좌)-주작산 암릉.

 

 

. 내동리밭섬(외도) 고분군입구.
좌측으로 올라 밭을 건너간다.

 

11 ; 30. 내동리밭섬(외도) 고분군. 
22.5m 삼각점과  석관묘 고분 2기. 정자와 운동기구가 있는곳으로 되돌아 내려가 도로따라 간다.

 

 

11 ; 30. 내동리밭섬(외도) 고분군에서 본 완도와 내동항.


 



1 ; 42. 내동항에서 뒤돌아 본 내,외도.
완도의 상황봉과 숙승봉,장죽도와 고마도를 보고 봉대산과 대둔산을 바라보며 해안가를 따라 사동마을을 지나간다.

 

 

사동마을.
좌측봉은 봉태산(峰台山.101.8m),뒤는 대둔산-위봉.

 

 

사동마을 젊은 시인의집.

 

 

2 ; 04. 원동리회관앞.

봉태산을 우측에 끼고 작은 언덕을 넘어간다.85세된 힐머니도 유모차를 밀고 마늘밭 풀 뽑으러 간다.

 

 

12 ; 30.좌측으로 장죽도로 들아가는 바닷길이 열려있다.계속 해변가를 따라 간다.

 

송도,토도,장구도가 일렬로 서있고 뒤는 완도의 백운봉-숙승봉,

 

 

12 ; 38. 신월방조제를 건너간다.
좌측으로 송도,토도,장구도가 일렬로 서있고,우측엔 대둔산,위봉,두륜산이, 뒤론 오소재-주작산 능선조망.
            방조제끝 신월포구를 지나 계속 세멘길을 따라 산모랭을 돌아가며 장죽도가 가깝게 보인다.

 

 

12 ; 38. 신월방조제에서 대둔산-위봉-두륜산-투구봉.

 

 

신월방조제에서 오소재(좌)-주작산암릉.

 

송도,토도,장구도.

 

 

신월포구,

 

 

고마도(古馬島).

 

 

13 : 01.  지도상의 성불암은 없어지고 대신 빨간 별장집들이 몇채있는데 비어있다.
좌측 장구도쪽으로 전봇대가 선 바닷길이 저만치 뻗어있다.
                6각정이 있는 갈두마을 포구를 지나며
비닐하우스 짓는곳에서 철근토막을 주워 배낭에 넣고 가며 수도 없이 신을 벗었다.

 

 

13 ; 22. 옛 토도리버스정류장.
좌측으로 토도(兎島)로 들어가는 바닥길이 열려있다.토도는 완도군이다.
           군경계를 지도에서 보면 해안선따라 육지는 해남땅이고 육지에서 가까워도 섬은 모두 완도땅이다.
             대둔산,위봉을 정면으로 보며 만수리 수문을 지나 우측 언덕을 넘어가면 양화마을이다.

 

 

  대둔산,위봉을 정면으로 보며 만수리 수문을 지나 우측 언덕을 넘어가면 양화마을이다.

 

 

양화마을 앞 언덕에서 대둔산과 위봉,

 

 

양화마을 앞 언덕에서 좌측 완도대교.

 

3 : 54. 만수마을 표지석이 있는 2차선도로.
양화마을 앞 언덕은 조망이 좋아 대둔산과 위봉,달마산과 도솔봉,완도대교와 숙승봉을 돌아보고
           능선세멘길따라 조금 내려오면 만수마을 표지석이다. 2차선 도로따라 가다 좌측 세멘길로 해안가를 돌아가며 지나온길을 돌아본다.

 

 

2차선 도로따라 가다 좌측 세멘길로 해안가를 돌아가며 지나온길을 돌아본다.

 

 

14 ; 21. 와룡 짜우락샘(龍淚井).용의 두눈에서 솟아오르는 신비의 바다샘.완도대교와 숙승봉이 가깝게 보인다.
            와룡마을을 지나  와룡교에서 다시 2차선도로를 만나 12분정도 가서는 좌측 세멘길을 따라 황토언덕을 내려가면 율도앞 해변이다.

 

 

완도대교.

 

 

 와룡교에서 본 대둔산중계소(좌)와 공룡이 그려진 동해저수지둑방.

 

 

14 ; 52. 율도입구.

드넓은 뻘밭이다.우측으로 꺽어 달마산을 보며 몇분가면 오산마을 어촌체험장이다.

 

 

14 ; 56. 오산 어촌체험마을 데크광장.완도 숙승봉이 넓은 갯벌 넘어로 건너다 보인다.
           

 

 두륜산-대둔산-달마산능선을 보며 2차선도로를 건너 대형물탱크가 있는 능선을 넘어가며 남창휴게소 보인다.

 

대형물탱크가 있는 언덕에서 뒤 돌아 본 오산마을과 뒤로 완도 숙승봉.
좌측섬은 율도.

 

 

15 : 20/21. 55번국지도.길 건너에 차경마을 표지석.우측에 땅긑농수산물직판장. 남창휴게소.삼남길 안내판은 나무판만 있고  내용은 없다.
           원래 계획은 여기서 7~ 8km쯤 더 간 서홍입구에서  해남으로 나갈 계획이었는데 신발이 탈이 나서 여기서 끝내고 해남으로 나갔다.
          북평면 소재지인 남창으로 가야 해남가는 교통편이 있어 차편을 물어보니 땅긑농수산물직판장 사장님이 데려다 주신다.고맙다.

 

 

15 : 26/16 : 00. 남창에서 해남가는 직행 버스 타고 .
남창에서 버스시간표.

 

남창에서 버스시간표.

 

 



해남 버스시간표.(클릭하면 확대됩니다).

 

16 : 25. 해남에 도착하여 구두수선집에 가니 깔창만 두 개 덧대주고 수선은 만든곳으로 보내야 한단다.
            밥집을 찾아 기웃거리다 갈낙탕을 18000원주고 시켰는데  차라리 짜짱면이나 먹을걸 그랬다.
           해남엔 찜질방이 두 곳 있어 터미널옆 참숯불가마찜질방에서(10000원) 2박.

 



출처: http://yul6629a.tistory.com/1153 [산경표를 따라서]

출처 : 산경표를 따라서
글쓴이 : 박종율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