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현상에 동일시 되거나 속지 말고
오직 ‘보는 자’로 남아서 지켜보라”
『 주시자, 관자재보살로 사는 법』
부제 : 반야심경과 해탈열반시解脫涅槃時
동암 지음
신국판ㅣ2도칼라ㅣ216쪽ㅣ12,000원
ISBN 978-89-97188-37-6 03220
‘에고’와의 동일시에서 벗어나 주시자로 사는 길
반야심경! 불자라면 누구나 불교의식이나 행사에 빠지지 않고 독송하는 대표적인 불교 경전이다. 그러나, 법회 때마다 늘 따라하고 외우고 사경을 하면서도 반야심경의 참뜻을 온전히 알고 있는 불자들은 많지 않을 것이다. 아마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반야심경을 공(空)을 설명한 경전으로, 그리고 반야심경에 등장하는 관자재보살은 중생이 간절하게 찾으면 응해주시는 보살님으로 우리를 수호해 주신다고 믿고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책 <주시자, 관자재보살로 사는 법>의 저자인 동암 스님(동해 명상사 주지)이 설명하는 반야심경과 서산 대사의 ‘해탈열반시(解脫涅槃時)’는 기존의 고정관념을 여지없이 허물어 뜨리고 깨달음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갖게 한다. 즉, 저자가 설명하는 반야심경 본문 260자 내용은 사리자라는 제자를 대상으로 설법을 하지만 오직 개인 내면, 마음과 그 마음을 ‘보는 자’ 그리고 보는 대상에 대한 법문이라고 해석한다. 그리고 여기에 등장하는 ‘관자재보살’이란 주시자, 응시자, 지켜보는 자, 관찰자라는 포괄적인 의미를 담고 있다고 설명한다.
따라서 저자가 보는 깨달은 보살이란 아상, 인상, 중생상, 수자상의 동일시에서 벗어나 무아인중수자(無我人衆壽者: 아상, 인상, 중생상, 수자상이 없는), 즉 무아에 통달한 사람, 사상(四相)의 동일시에서 벗어나 ‘주시자가 된 자’를 여래는 참다운 보살이라 호칭한다는 것이다.
이처럼 반야심경의 관자재보살이 몸과 생각을 지켜보는 ‘주시자’임을 깨닫게 되면 온갖 두려움과 공포, 고통이 자신의 것이 아니라 허상(환상)임을 알게 된다. 살아가면서 겪고 있는 시기와 질투, 남들과의 비교, 잘났다 못났다, 부자다 가난하다, 잘한다 못한다 등등 이 모든 것들이 마음의 허상이라는 것을 자각하여 일체의 고통에서 벗어나 자유를 얻게 된다. 이는 서산 대사가 <선가귀감>에서 남긴 ‘해탈열반시(解脫涅槃時)’란 게송처럼, 마음의 모든 고통과 재앙을 벗어나 고요하고 영원한 기쁨에 들어가는 순간이란 것이 저자의 관점이다.
저자는 반야심경과 해탈열반시를 제대로 이해하게 되어 이 법문을 이정표로 살아간다면 현세에서 받는 정신적, 육체적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말한다. 그리고 이것이 에고(ego)와의 동일시에서 벗어나는 길이고, 동일시에서 벗어나는 것이 곧 해탈이며, 아뇩다라삼막삼보리를 깨닫는 수행이라는 설명한다.
모든 독자들이 고통과 두려움, 괴로움을 겪으며 살아가진 않을 것이다. 하지만 죽음에 대한 두려움과 공포는 누구나 가지고 있을 것이다. 탐욕과 성냄과 어리석음으로 빚어진 모든 고통과 나아가 생사로부터도 벗어날 수 있는 길이 이 책에 들어있다.
저자의 〈주시자, 관자재보살로 사는 법〉을 접하고 있는 지금 이 순간, 당신은 벌써 진리를 향한 지름길에 들어섰다는 느낌을 받았을 것이라 생각한다.
주시注視와 관찰, 성불을 위한 탁월한 수행법
‘자아’의 두꺼운 껍질 뚫고 관찰자ㆍ순수의식 발견하는 길
궁극적인 깨달음을 상징하는 그 ‘달’이란 우리가 ‘나’라고 생각하는 ‘자아(ego)’의 두꺼운 껍질을 넘어 관찰자, 순수의식으로 말해지는 우리의 바탕을 우리 속에서 발견하는 그런 것을 말한다. 힌두교에서 말하는 아트만, 융 심리학에서 말하는 셀프, 불성, 순수의식… 모두 하나의 달을 가리킨다고 여겨진다. 그것을 체득하기 위해서는 우리가 오온(五蘊)이라는, 자아를 이루는 것들의 두꺼운 껍질을 뚫어 보고, 그 바탕에 있는 관찰자의 상태를 우리 속에서 확인하는 마음수련의 과정이 필요하다. 그 관찰자는 온 우주의 바탕인 우주의식과 같다는 것이 불교적인 직관일 것이다.
-정신과 전문의 김자성 박사(동해 동인병원)
수행과 관찰 통해 진실에 근접한 리얼리티를 풀어놓다
대부분의 해설서와 달리 동암 스님은 당신의 수행과 관찰을 통해 진실에 근접한 리얼리티를 풀어놓았다. 그는 열정적인 탐구, 섬세한 관찰, 릴렉스한 사색 그 자체이다. 곁에 있으면 그 열정적인 에너지 장에 빠져들어 누구나 어느새 관찰자가 되고 사색가가 되고 명상가가 된다.
수행자는 자신의 삶을 통해 의도되지 않은, 긴장하지 않은(relaxed) 주시(注視)와 관찰만이 성불을 위한 최고의 방법일 것이다. 동암 스님이 해설한 이 책은 자기 내면 탐구에 목말라하는 이에게 한 사발의 냉수가 될 것이다.
-삼척문화방송 김상호 아나운서
지은이 소개
저자 : 동암스님
저서에 <금강반야바라밀경>, <관세음보살보문품 강의> 등이 있다. kdsm007@hanmail.net
본문 중에서…
천수천안관자재보살, 이 단어 속 의미는 관자재란 사람 천 개의 손과 천 개의 눈 같은 능력과 작용을 표현하는 단어이며, 원각경에 나오는 보안(普眼)보살이란 단어 속 의미는 넓게 보는 눈, 태양 같은 눈이란 의미가 들어 있습니다.
관보현보살은 넓게 나타내어 본다, 또는 시공을 초월하여 모든 것을 있는 그대로 보는 자, 본다는 의미를 포함하며 여래, 혜안, 지혜, 불법, 진아, 무아 이 단어들도 모두 본다, 보는 자라는 의미를 지니는 단어들입니다. 이렇게 여러 단어들을 비교하여 봄으로 인도어 아발로키테스바라 보디사트바를 보는 자, 보는 것, 관찰, 주시, 응시라는 포괄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42p)
관(觀)이란 시간적인 측면에서 오직 현재, 지금입니다. 과거나 미래를 개입하지 않은 상태에서 오직 현재의 현존적인 측면이고 공간적으로는 부분적인 것이 아니라 전체 우주적인 공간을 포함합니다. 즉 오직 현재 과거 미래라는 것과 단절된 상태에서 우주 전체와 분리된 부분, 독립 공간이 아닌 전체와 하나 된 공간적인 상태를 포함하는 순간, 공간에서 본다, 느낀다는 의미를 내포하는 것입니다. (중략)
관(觀)이란 문자 속 의미는 위와 같은 상황에서 보고 느끼는 것이 아니라 오직 ‘지금 여기’라는 시간, 공간적인 의미를 가지고 보고 느낀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주관(主觀)이 아니다, 그렇다고 객관(客觀)도 아닙니다. 보는 자와 대상이 나누어지지 않은 그런 미묘한 상태입니다. (57p)
그것은 항상 개인적이고 독창적입니다. 그것은 언제나 영원히 그대의 것이며 오직 그대만의 것입니다. 그러나 여기서 이해해야 할 것은 그대의 것이라는 이 말은 거기에 어떤 작은 에고(ego)도 개입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반야 지혜는 그대의 자성(自性), 스스로 보는 자에서 솟아나고 피어납니다. 그런 의미에서 반야를 그대의 것이라 말하는 것입니다.
반야 지혜에는 ‘나(自我)’라는 에고가 설 자리가 없습니다. 왜냐하면 나(자아)라는 에고는 관조, 주시, 지켜봄 속에서는 존재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이 반야 지혜라는 꽃은 우주공간 지구 위에 현존하는 최고의 더할 수 없는 보물이고 살아있는 영원한 생화(生花)입니다. (76p)
주변의 모든 흙, 물, 나무와 나를 잡아먹기 위해 으르렁대고 울부짖던 모든 적들이 나를 환영하여 주고 추앙하듯 나를 우러러 보고 나를 따르고 환영하는 기쁨의 노래… 춤을 추고 근심, 걱정, 두려움, 공포 하나 없는 그런 마음과 느낌 속에서 새로이 태어나 죽음이 없는 그런 것으로 변하고 자연 속의 하늘, 땅, 사람, 바람, 비, 강물, 바다, 나무, 생물체, 무생물체, 소리, 빛, 어둠, 시간 모두가 나라는 것을 보고 아는 상태가 바로 아누다라삼막삼보리란 문자 단어 속의 비유적인 의미 실체입니다. (117p)
“아제아제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
갔다, 갔다 아주 갔다, 저 너머로 아주 갔다, 영원히 갔다.
너희들을 이끌 것이다, 기쁨의 춤을 추라.
오온의 동일시에서 떠났다, 오온의 동일시에서 떠났다. 동일시에서 완전히 벗어났다.
우주와 하나 되었다, 영원한 우주가 되었다.
스스로 보는 자가 항상 이끌 것이다.
아누다라삼막삼보리를 성취하였다, 환희의 기쁨 영원하도다. (125p)
오직 이 글, 이 말을 듣고 보아 이해 체득하면 슬픔, 고통, 두려움의 삶 넘어서 다시 윤회 없는 영원 고요한 기쁨에 이르노니, 과거, 현재, 미래, 마음세상, 어디에도 걸리고 막힘 없어지고 윤회 사슬 끊고 생사에 자유로워라.
옳고 좋은 바른 말 듣고 보더라도 흔들리지 말고 거짓과 나쁜 말 보고 들어 두려움 고통이 올 지라도 오직 흔들리지 말고 바라보라. 여기 거기가 부처님 세상이니라.
곧 이 글, 이 말, 요점은 산 자나, 죽어가는 자, 죽은 자, 모두 평상시에 이대로 항상 주시, 응시, 행심(行深)의 힘으로 임종(죽을) 시에 오는 결과이니 머리 백호에 발에 신은 신발처럼 몸에 입은 옷처럼 하여 항상 오온을 지켜볼지니라.
ㅡ 휴정 서산대사의 ‘해탈열반시’ 중에서 (152p)
평상시 건강하게 살아있을 때나, 늙어 죽음이 올 때, 육체적 죽음 이후에도 자신 스스로 내면의 마음속에서 일어나는 현상들에 대하여 동일시되지 말고, 오직 ‘보는 자’로 남아서 주시하고 지켜보라, 오직 지켜보라. 소리, 빛, 향기와 그 어떤 형상이 오고 가더라도 동일시되지 말고 ‘지켜보는 자’로 남으라.
- 바르도 퇴돌 첸모 (169p)
목 차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摩訶般若波羅蜜多心經)
인생 성공의 길(우리말 반야심경)
머리말: 나를 보고 아는 길,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
추천사: ‘자아’의 두꺼운 껍질 뚫고 관찰자ㆍ순수의식 발견하는 길
수행과 관찰을 통해 진실에 근접한 리얼리티를 풀어놓다
제 1부. 반야심경 해설
관자재보살 행심 반야 바라밀다 시
관자재보살이란 누구이며 무엇인가?
관자재와 관세음
그림의 창조자와 그림을 보는 자는 무엇인가?
법신(法身)이란
관(觀)이란
견(見)이란
行深 般若 波羅蜜多時(행심 반야 바라밀다시)
行深(행심)
般若 波羅蜜多時(반야 바라밀다시)
바라밀다(Paramita, 波羅蜜多)
照見(조견)
五蘊皆空度(오온개공도)
一切苦厄(일체고액)
색불이공 공불이색 색즉시공 공즉시색
色不異空(색불이공)
五蘊(오온)
사리자 시제법공상 불생불멸 불구부정 부증불감
공중무색 무수상행식 무안이비설신의 무색성향미촉법 무안계
無眼界(무안계)
心無?碍 無?碍故(심무가애 무가애고)
阿?多羅三幕三菩提(아누다라삼막삼보리)
시대신주 시대명주 시무상주 시무등등주
能除一切苦(능제일체고)
아제아제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 한자 공부
제 2부. 해탈열반시 해설
解脫 涅槃時(해탈 열반시)
모든 고통 벗어나 영원한 기쁨에 드는 길
해탈열반시와의 인연
서산대사 행장
解脫涅槃時(해탈열반시)란 의미는
凡人 人命終時(범인 인명종시)
但觀 五蘊皆空(단관 오온개공)
但觀五蘊皆空 四大無我(단관오온개공 사대무아)
四大無我 眞心無相 不去不來(사대무아 진심무상 불거불래)
생시성역불생 사시성역불거 담연원적 심경일여
但能如是 直下頓了(단능여시 직하돈료)
不爲三世所拘繫 便是出世自由人也
然卽平常 是因 臨終 是果 須着眼看
但自無心 須着眼看(단자무심 수착안간)
추기(追記): ‘에고’와의 동일시에서 벗어나는 내면 탐구의 길
'불교 > 사찰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청전스님 라닥 순례 2013 (0) | 2013.11.20 |
---|---|
[스크랩] 금강경강의 (법륜스님 동영상 강좌) (0) | 2013.11.02 |
[스크랩] DEVA PREMAL/SHIVOHAM SHIVOHAM (0) | 2013.09.24 |
[스크랩] Ti-Sarana (Buddhist song) 삼귀의 (0) | 2013.09.24 |
[스크랩] < 티베트 불교 > 동영상 시리즈 전편 (0) | 2013.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