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에 기생이 많았다고 해도
우리 집안에는 그런 여자 없었다 한다
지리산 자락 아래 진주 기생이 이 나라 가장 오랜 기생 역사를 갖고 있다지만
우리 집안에 열녀는 있어도 기생은 없었단다
백정이나 노비, 상인 출신도 없는 사대부 선비 집안이었다며 아버지는 족보를 외우신다
낮에 우리는 촉석루 앞마당에서 진주교방굿거리춤을 보고 있었다
색한삼 양손에 끼고 버선발로 검무를 추는 여자와 눈이 맞았다
집안 조상 중에 기생 하나 없었다는 게 이상하다
창가에 달 오르면 부푼 가슴으로 가야금을 뜯던 관비 고모도 없고
술자리 시중이 싫어 자결한 할미도 없다는 거
인물 좋았던 계집종 어미도 없었고
색색비단을 팔러 강을 건너던 삼촌도 없었다는 거
온갖 멸시와 천대에 칼을 뽑아들었던 백정 할아비도 없었다는 말은
너무나 서운하다
국란 때마다 나라 구한 조상은 있어도 기생으로 팔려간 딸 하나 없었다는 말은 진짜 쓸쓸하다
내 마음의 기생은 어디서 왔는가
오늘밤 강가에 머물며 영감(靈感)을 뫼실까 하는 이 심정은
영혼이라도 팔아 시 한 줄 얻고 싶은 이 퇴폐를 어찌할까
밤마다 칼춤을 추는 나의 유흥은 어느 별에 박힌 유전자인가
나는 사채이자에 묶인 육체파 창녀하고 다를 바 없다
나는 기생이다 위독한 어머니를 위해 팔려간 소녀가 아니다 자발적으로 음란하고 방탕한 감정 창녀다 자다 일어나 하는 기분으로 토하고 마시고 다시 하는 기분으로 헝클어진 머리칼을 흔들며 엉망진창 여럿이 분위기를 살리는 기분으로 뭔가를 쓴다
다시 나는 진주 남강가를 걷는다 유등축제가 열리는 밤이다 취객이 말을 거는 야시장 강변이다 다국적의 등불이 강물 위를 떠가고 떠내려가다 엉망진창 걸려있고 쏟아져 나온 사람들의 더러운 입김으로 시골 장터는 불야성이다
부스스 펜을 꺼낸다 졸린다 펜을 물고 입술을 넘쳐 잉크가 번지는 줄 모르고 코를 훌쩍이며 강가에 앉아 뭔가를 쓴다 나는 내가 쓴 시 몇 줄에 묶였다 드디어 시에 결박되었다고 믿는 미치광이가 되었다
눈앞에서 마귀가 바지를 내리고
빨면 시 한 줄을 주지
악마라도 빨고 또 빨고, 계속해서 빨 심정이 된다
자다가 일어나 밖으로 나와 절박하지 않게 치욕적인 감정도 없이
커다란 펜을 문 채 나는 빤다 시가 쏟아질 때까지
나는 감정 갈보, 시인이라고 소개할 때면 창녀라고 자백하는 기분이다 조상 중에 자신을 파는 사람은 없었다 ‘너처럼 나쁜 피가 없었다’고 아버지는 말씀하셨다
펜을 불끈 쥔 채 부르르 떨었다
나는 지금 지방축제가 한창인 달밤에 늙은 천기(賤技)가 되어 양손에 칼을 들고 춤추는 것 같다
- 시골창녀 , 김이듬 -
시 한줄을 얻기 위한 시인의 고뇌가 아련하다
"작가는 시정잡배나 광대"라고 말한 황석영도 그렇고 ..
우리는 왜 그들을 몰라줄까?
이해할려고 하지도 않을까?
진실로 우리들의 문제 일수 도 있는데도 말이다
고작 TV앞에서 연속극이나 아무 생각없는 말장난이나 ?아내는 예능프로그맴에 몰두한다
TV시청율이 최대치에 이를때 함께 광고의 쓰나미도 같이 온다
정말 없는 물건이 없고 품질은 최고다
빨리 사세요, 금방 품절될거예요..
지금 안사면 후회한단다. 다시 기회가 없단다
여자들은 말을 어쩌면 저렇게 잘하는지
누를까 말까..
자면서도 쇼핑을 한다
TV라는 괴물은 그렇게 물신주의(物神主義)의 교리를
우리도 모르게 쇄뇌하고
환영처럼 사라곤 한다
머리아퍼 .. 난자기생각
자두가 열렸다
자두나무니까
?자두와 자두나무 사이에는 가느다란 꼭지가 있다
가장 연약하게
처음부터 가는 금을 그어놓고
두 개의 세계는 분리를 기다린다
이것이 최고의 완성이라는 듯이
난 말이지
정신적인 사랑, 이런 말 안 믿어
다행이다
내가 사랑하는 사람이 나를 사랑하지 않아서
?카페 루이제에서 자두나무가 있는 정원까지 오는 동안
혼자 흐릿하게 떨리는 게 순수한 사랑이라고
나는 우스운 생각을 했다
시시각각 자두가 붉어지고 멀어지고
노을 때문에 가슴이 아픈 거다
최고의 선은 각자의 세계를 향해 가는 것
그러나 가끔 이상하게
멈춘 채 돌아보게 된다
?자두나무는 자두를 열심히 사랑하여 익히고 떨어뜨리고
나는 사랑을 붉히고 보내야 한다
사람이니까
그리고 망설일 줄 아는 능력이 있다
-‘다소 이상한 사랑’ 전문
“너는 왜 시를 쓰는가?”는 질문은 ‘너는 왜 내가 아니고 너인가?’ 혹은 ‘나는 왜 너를 사랑하는가?’라는 물음처럼 들린다.
나에게 ‘시’는 ‘사람+사랑’의 동의어다.
어쩌면 영원한 미지의 그것일지도. 까닭도 시작과 끝도 모른 채 시를 쓴다, 사랑한다.
나를 가리켜 “육체의 감각 밑에서 시를 발굴하는 시인”(황현산 비평가), “세이렌의 노래를 부르는 시인”(이광호 비평가), “시 앞에서 날마다 허물어지는 영혼”(조재룡 비평가) 등으로 부르지만, 난 그저 진주 남강 언저리에서 시를 짓는 여자일 뿐.
'가족 > 개인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고도를 기다리며(Waiting for Godot) / 사뮈엘 베케트 (0) | 2016.10.22 |
---|---|
[스크랩] Scarborough Fair / Simon & Garfunkel (0) | 2016.10.22 |
[스크랩] 별을 굽다 / 김혜순 (0) | 2016.10.22 |
[스크랩] 독일의 교육철학 (0) | 2016.10.22 |
[스크랩] 푸른 곰팡이 / 이문재 (0) | 2016.10.22 |